합계 출산율 국내 시도별 변화 2023

Subscribers:
76,100
Published on ● Video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Je5IexKcT9A



Duration: 0:00
11,257 views
0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시도별로도 큰 차이를 보입니다. 합계 출산율은 한 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를 의미하며, 2.1명이 안정적인 인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수준으로 간주됩니다. 하지만 한국의 출산율은 2000년대 중반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2023년에는 0.7명대에 이르렀습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농촌 지역보다는 대도시에서 출산율이 더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 서울특별시는 높은 주거 비용과 경쟁적인 교육 환경 등으로 인해 전국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대도시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반면, 전통적으로 농업과 관련된 지역인 전라남도, 경상북도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출산율을 유지하고 있지만, 여전히 인구 유지에 필요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정부는 이러한 출산율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출산 장려금 지급, 육아 지원 확대, 주거비 지원 등이 추진되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를 내기에는 부족한 상황입니다. 지역별 특성에 맞춘 맞춤형 정책과 함께 사회 전반적인 인식 변화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