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동제약, 제품 다양화 드라이브…'6분기 적자' 끝낼 승부수 될까

Channel:
Subscribers:
10,100
Published on ● Video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iYfrqQcyJKw



Duration: 1:45
47 views
2


라니티딘 사태 최대 피해기업으로 꼽히는 일동제약(249420)이 제품 다양화와 신약 개발을 바탕으로 재도약을 노리고 있다. 6분기째 적자 늪에 빠져있는 일동제약은 최근 항궤양제 ‘넥시움’ 판매에 나서며 1분기 신기록을 달성했고, 포시가·자누비아 복합제를 허가받으며 당뇨병 치료 복합제 시장 진출까지 예고한 상황이다. 연구개발 (R&D) 확대로 수익성 개선은 쉽지 않은 상태지만 제품 다양화로 장기 적자를 벗어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일동제약은 올해 1분기 1592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9.6% 증가한 것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94억원, 당기순손실은 1210억원을 나타냈다. 2020년 4분기 이후 6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한 것이다. 이에 따른 누적손실액은 696억원에 달한다.

수익성이 악화된 것은 지난 2019년 위장약 성분인 ‘라니티딘’에서 발암 추정물질이 검출되면서부터다. 이른바 라니티딘 사태로 불리는 이 사태로 인해 일동제약은 200억원대 매출을 내던 효자품목 ‘큐란’을 판매할 수 없게 됐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난해에는 식욕억제제 성분 ‘로카세린’의 안정성 문제로 인해 1000억원대 규모의 국내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던 ‘벨빅’마저 퇴출되고 말았다.

이같이 예상치 못한 악재에 직면하기 쉬운 제약업계 특성상 대형 제약사는 손실 최소화를 위해 통상 제네릭(복제약) 품목을 늘리거나 자사의 영업망을 무기 삼아 타사와 공동판매에 나서곤 한다. 또 당장 수익성에는 도움 되지 않을지라도 연구개발 투자를 늘려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거나 퍼스트제네릭 출시를 노리는 등 중장기적 실적 반등을 도모하기도 한다.

일동제약은 판매 제품군 확대와 연구개발 투자 확대를 동시에 승부수로 꺼내든 모양새다.

일동제약은 올해부터 아스트라제네카와 함께 프로톤펌프억제제(PPI) 계열 항궤양제 ‘넥시움(에소메프라졸)’ 공동판매를 시작했다. 넥시움은 지난 10년간 전 세계 누적 처방량 1위를 기록한 블록버스터 제품이다. 제네릭인 한미약품의 ‘에소메졸’로부터 1위 자리를 뺏기긴 했으나, 지난해에도 400억여원의 처방실적을 달성했다.

지난 1월에는 SGLT-2 억제제 ‘다파글리플로진(제품명 포시가)’과 DPP-4 억제제 ‘시타글립틴(제품명 자누비아)’ 복합제 ‘글로타파정’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받았다. 오리지널 의약품인 포시가와 자누비아는 각각 지난해 400억원이 넘는 처방실적을 기록했다. 다만 두 성분의 물질특허 존속기간이 남아있어 시장 판매는 2023년 9월부터 가능할 전망이다.

이어 2월에는 ‘자렐토(리바록사반)’ 제네릭 ‘자렐리반정’을 허가받았다. 자렐토는 연매출 600억원대의 경구용 항응고제(NOAC)다. 자렐리반정의 경우 자렐토에 걸려 있는 모든 허가가 지난해 만료돼 허가 직후 시판이 가능했다.

신약 개발을 위한 투자도 아끼지 않고 있다. 일동제약에 따르면 회사의 1분기 연구개발비용은 271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17%에 달한다. 현재 △제2형 당뇨병 치료제 2개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2개를 비롯해 △습성황반변성과 녹내장, 안구건조증 안질환 치료제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치료제 등 10여개의 신약 개발 관련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다만 임상1상 진행 중인 제2형 당뇨병 치료제 ‘IDG16177’을 제외하곤 모두 비임상단계에 머물러있어 매출 발생을 기대하기엔 매우 이른 상황이다.

지난해 11월부터는 일본 시오노기제약과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S-21762’에 대한 국내 임상2/3상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일동제약은 S-21762의 국내 판권만 보유하고 있어 실적 개선에 큰 영향을 미치진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일동제약은 지난해 운영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10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한 바 있다. 창립 이후 처음 발행한 전환사채다. 회사의 영업활동현금흐름은 2020년 199억원에서 2021년 -111억원으로 적자전환했고, 같은 기간 재무활동현금흐름은 -45억원에서 967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빚을 늘려 현금을 유입한 셈이다. 앞으로 신약 개발 투자를 이어가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일동제약 관계자는 IB토마토에 “신약 개발은 미래먹거리를 확보해야 하는 제약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과업 중 하나”라며 “연구개발 강화 기조는 앞으로도 이어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 “연구개발 투자를 통한 사업 다각화뿐만 아니라 외형이나 수익성 강화를 위한 사업 육성도 힘을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동제약#제약주#바이오주




Other Videos By IB토마토


2022-05-18수익성 뚝 떨어진 셀트리온, 앞날도 여전히 '먹구름'
2022-05-17'후' 매출 불안 현실화…LG생활건강, 성장동력 꺼지나
2022-05-16차로 흥한 코오롱그룹, '모빌리티' 앞세워 미래 성장 나서나
2022-05-16가상자산의 ‘꽃’ 이더리움의 모든 것 (참쉬운경제)
2022-05-13이겨내컴퍼니 차유람 대표 피플인터뷰 (국민의힘 선대위특보 영입!)
2022-05-11현금 실탄 장착한 대우건설, 투자 시동 거나
2022-05-10커피빈, 원가율 낮은데…납득 어려운 올해 3차례 가격인상
2022-05-09'수소혼소' 속도내는 한화·SK·두산…전망은 '불투명'
2022-05-09유바이오로직스, 보톡스시장 진출 시동…'적자 탈출' 묘수 될까
2022-05-06특별사면을 가장 많이 한 대통령은? 두 번 사면받은 기업인이 있다!?
2022-05-03일동제약, 제품 다양화 드라이브…'6분기 적자' 끝낼 승부수 될까
2022-05-02엑셀러레이터가 주목하는 산업과 기업은?
2022-05-02가입자 갱신주기 도래…현대해상, 실손보험 득 볼까
2022-04-29PI첨단소재 인수전…롯데케미칼·KCC글라스 재무경쟁력은
2022-04-28비트코인, 안티와 찬티…팽팽한 ’줄다리기‘
2022-04-26인수위 “풍력 재검토”…코오롱글로벌 등 사업 제동 우려
2022-04-25예수금 확보 속도 내는 신한은행…열위한 유동성 해소되나
2022-04-25DL건설, 민간주택 공급 확대로 실적 성장 탄력
2022-04-22누가 제일 잘 나가!? 봄 맞이 패션 기업 랭킹 TOP10 (2021년매출기준)ㅣ한입(IB)랭킹
2022-04-20포스코홀딩스, 삼척블루파워 악재까지…ESG 등급 또 떨어지나
2022-04-19롯데쇼핑, 거꾸로 도는 '실적시계'…온라인 부진 탈출 언제쯤



Tags:
제약바이오주
넥시움
당뇨병
당뇨병치료
자렐토
발암물질
비만
식욕억제
신약개발
신풍제약주가
일동제약주가
바이오주가
제약주가
지방간염
녹내장
안구건조증
호흡곤란
임상실험
시오노기제약
전환사채
역류성식도염
고형암
습성활반변성
제2형당뇨병
비알코올성지방간염
켐온주가
sk바이오팜주가
박셀바이오주가
종근당주가
대웅제약주가
셀트리온주가
삼성바이오로직스주가
sk바이오사이언스주가
파미셀주가
녹십자주가
뉴스토마토
아이비토마토
ib토마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