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드 미채용 오의난무 극치특 / 극치신 / 치특신 / 나선경 장단점 및 추천 빌드 정리』 & 『일격 vs 난무 난이도 및 실전 DPS 비교』 [로스트아크]

Channel:
Subscribers:
366
Published on ● Video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bEkDMQNLP8



Lost Ark
Game:
Lost Ark (2019)
Duration: 0:00
9,639 views
45


다 만들고 보니까 장단점 얘기할 때 설명이 부실하네요.
다음에는 더 신경쓰겠습니다.
더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노아드 빌드 자체는 매우 베스트 입니다.
아드 스택 관리를 안 하는 것 자체가
운룡각을 순수 백잡기로 사용 할 수 있는 것으로 이어져서
유각 단계 전까지는 무조건 이 빌드 사용 할 것 같습니다.

일격은... 패치 좀 해라 좀

구독과 좋아요 한 번씩만 부탁드립니다!
문의 : leesh8485@naver.com

#로스트아크 #로아 #스커 #스트라이커 #치특신 #극치특 #극치신 #나선경
#오의난무 #난무 #스팀게임 #롤체 #tft #롤토체스 #롤




Other Videos By 게성현


2025-02-27이번 밸패 최대 수혜자 Z키 추가 스커의 정상화 후기 (+모르둠 풀영상)
2025-02-21로아 공식 버그캐 밸패 전 라스트 발악 패턴 ON 억텐 or 찐텐?
2025-02-183막에 등장한 스커 나이스단 #shorts
2025-01-28[로스트아크] 3막 스커 입장 레이드 체감 정리
2025-01-27[로스트아크] 【하드】 3막 3관 일격 스트라이커 시점 끝나지 않는 마라톤..
2024-11-30인생 망한 스트라이커 나로크 못 부수기 [로스트아크]
2024-11-07『일격 스커』 하브 2관 부수기 [로스트아크]
2024-11-01【가시성 AS 패치】 이후 『일격 스커』 나로크 부수기 [로스트아크]
2024-11-01스커 밸패+가시성 패치 후 『일격』 『난무』 평가 및 특성비 최종정리 + 망상쇼 [로스트아크]
2024-10-25『다 뚫어버리는 시원한 한방 스트라이커 16버블 청염각 모음』 [로스트아크] #shorts
2024-10-22『아드 미채용 오의난무 극치특 / 극치신 / 치특신 / 나선경 장단점 및 추천 빌드 정리』 & 『일격 vs 난무 난이도 및 실전 DPS 비교』 [로스트아크]
2024-10-18[로스트아크] 아드 각인x 난무 스커 하브 2관 재활 운동 및 데이터 쌓기
2024-10-07[로스트아크] 일격 스커 하브 후기 / 1싸2청 체감 및 개인적인 생각 정리!!
2024-10-01[로스트아크] 카제로스 2막 2관 아브렐슈드 하드 1695 일격 스커 시점 (유각x 평균 1697 공대)
2024-09-29[로스트아크] 카제로스 2막 1관 하드 나로크 1695 유각x 일격 스트라이커 시점 (유각x 평균 1697 공대)
2024-09-07[로스트아크] 일격 스트라이커 기습x 원아예슈저 후기 및 장단점 정리!!
2024-08-29스트라이커 초각성 세팅 및 느낀점 정리!! 낭만 그 자체가 되어버린 직업..
2024-08-23범이 하늘에 서겠다. 【초각성】 스트라이커 16버블 극:오의 !! 구슬의 축복 떡상각이다!! [로스트아크]
2024-08-22스트라이커 아크 패시브 세팅 장단점 총정리!! 【3오의 일격】, 【구슬의축복】,【뭉가난무】
2024-08-16우주선 강화 해서 거대 보스 잡는 스팀 신작 게임!! 로그라이크+뱀서 개꿀잼이네 ㅋㅋㅋ 【Noba Drift】
2024-08-14[오구와 비밀의 숲] 타락한 타우를 정화하고 징표를 되찾아라!! 드디어 모습을 보이는 신의 정체... (엔딩)



Other Statistics

Lost Ark Statistics For 게성현

At this time, 게성현 has 82,704 views for Lost Ark spread across 26 videos. Less than an hour worth of Lost Ark videos were uploaded to his channel, roughly 9.17% of the content that 게성현 has uploaded to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