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툴리눔 톡신 제조기업 제테마 중국 임상 시험 불투명과 법적 분쟁에 현금 부족까지

Channel:
Subscribers:
10,100
Published on ● Video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dGq7oPdap4



Duration: 1:40
705 views
8


보툴리눔 톡신 제조기업 제테마(216080)가 중국 임상 시험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국내 보건당국과 법적 분쟁을 벌이고 있어, 패소할 경우 중국 임상 시험에 투입한 자금을 날릴 수 있기 때문이다. 자금 여력이 충분치 않아 쉽게 중국 임상 시험에 뛰어들 수 없을 것이라는 평가가 높다. 여기에 임상 도중 찾아올 미상환 전환사채(CB) 투자자들의 조기상환청구권(풋옵션) 행사에 따른 유동성 경색도 불안요소다.


제테마 원주공장. (사진=제테마)

10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제테마는 지난 4일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보툴리눔 톡신 제제 ‘제테마더톡신주100단위(JTM201)’에 대한 임상1·2상 승인을 받았다. 임상은 1단계에서 중등도·중증 미간주름이 있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제테마더톡신 단일 투여의 내성과 안정성을 평가하고, 2단계에서 오리지널 제품인 앨러간의 ‘보톡스’와 유효성을 비교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제테마더톡신의 임상이 승인되면서 제테마의 중국 진출에도 탄력을 받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제테마는 지난 2020년 중국 화동닝보사와 약 5500억원 규모의 제품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당시 계약을 통해 화동닝보사는 2024년 중국 내 시판 허가를 목표로 현지 임상을 시작하기로 했다. 이번 임상1·2상은 해당 계약에 따라 진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임상 승인에 따른 제테마의 판로 개척 기대감과는 달리 시장의 반응은 싸늘하다. 제테마더톡신을 둘러싼 보건당국과의 법적 대립이 끝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12월 제테마와 한국비엔씨(256840), 한국비엠아이 등 3개사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에 대한 품목허가를 취소한다고 발표했다. 수출용 의약품을 국가출하승인 받지 않고 국내에 판매했다는 이유에서다.

식약처는 해당 제품에 대한 허가 취소와 함께 제조업무 정지 6개월 등의 처분을 예고했고, 이에 제테마는 법원에 ‘집행정지 잠정처분’을 신청했다. 법원이 집행정지 잠정처분을 인용하면서 당장 제조업무 정지는 피했지만, 효력정지 기간이 끝나는 오는 20일 이후 법적 대립이 재개될 예정이다. 여기서 제테마가 식약처에 패소할 경우 품목허가 취소로 인해 거대한 매출 공백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제조업무 정지에 따라 중국 임상에도 차질을 입게 된다.

시장은 제테마의 현금 여력에도 물음표를 보내고 있다. 지난 2021년 7월에 발행한 8회차 CB의 풋옵션(조기상환청구권) 효력이 6개월 뒤 나타나기 때문이다. 해당 CB의 규모는 총 700억원으로 작년 3분기 기준 회사가 보유한 현금성자산(358억원)의 두배에 육박한다.



CB는 표면금리와 만기금리가 모두 제로(0)다. CB 투자자들은 주식 전환을 통한 차익 실현에 투자한 것이다. 현재 CB의 전환가액은 리픽싱 한도인 2만6577원까지 내려왔지만, 이날 주가(1만4250원)와 큰 괴리를 보이고 있다. 풋옵션 효력 발생 이후에도 주가가 크게 상승하지 않으면 대부분 투자금을 회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투자자들은 CB삼성증권과 키움증권, NH투자증권 등 20여개의 재무적투자자(FI)로 구성됐다.

특히 통상 임상이 1년 이상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CB 풋옵션 효력 발생에 따른 임상 자금 피해는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제테마 입장에선 투자자들의 풋옵션 청구를 막기 위해 6개월 안에 주가를 전환가액인 2만6577원까지 86.5% 이상 끌어올려야 한다. 사실상 풋옵션 행사를 막기보단 채무상환자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제테마는 외부 차입을 통해 유동성 경색에 대처하는 모습이다. 실제로 지난해 3분기 기준 제테마의 총차입금은 112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른 차입금의존도는 54.8%다. 일반적으로 차입금의존도가 30%를 넘어서면 재무구조가 불안정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관련 IB토마토는 제테마에 유동성 대응 방안에 대해 묻기 위해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으나, 답변을 들을 수 없었다.
#제테마 #임상실험 #식약처허가




Other Videos By IB토마토


2023-01-19LG디스플레이, OLED투자 부담 및 인플레이션, 고금리 장기화로 부진한 영업실적 전망
2023-01-18현대건설, 분양 물량 소화 의구심 가득 힐스테이트 동대구 센트럴 미분양 힐스테이트 인천시청역 미분양
2023-01-18신세계푸드, 스무디킹 수혈에 재무부담 가중, 해외 대체육시장 투자까지 나선 상태라 수익성 개선 절실
2023-01-17코스나인 주가 부진한 흐름을 보이며 전환사채 조기상환청구권 행사 우려 가시화
2023-01-17GS리테일, 비용 부담에도 '이커머스' 시너지 노린다 요편의점 등 '퀵커머스' 본격 시동
2023-01-16둔촌주공 올림픽파크 포레온 전용 84㎡ 중도금 대출 가능,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최대 5억원 대출
2023-01-13할리스, 역량평가 '대리서명' 논란 KG그룹 커피 프랜차이즈 KG할리스에프앤비 근무혁신에 빨간불
2023-01-13혼다코리아 올해 온라인, 오프라인 가격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시스템 도입
2023-01-12한화솔루션, 3조2000억원 통큰 투자…“당장 차입 필요없다”
2023-01-12'적자전환' 트루윈, 빚 갚다 유동성 위기 오나
2023-01-11보툴리눔 톡신 제조기업 제테마 중국 임상 시험 불투명과 법적 분쟁에 현금 부족까지
2023-01-11LG에너지솔루션 지난해 4분기 역대급 실적에 성과급 등 일회성 비용을 반영하고도 전년 대비 200% 이상 영업이익 실현
2023-01-10K-원전 원자로 설비 수주 가능성 확대…두산에너빌리티 (두산중공업), 최대 수혜자 떠올라
2023-01-10아이에스동서, 이차전지 재활용 기업인수로 폐배터리 재활용 분야 주요 기업으로 급상승
2023-01-09JP모건 헬스케어에 K-바이오 '촉각' 삼성바이오·차바이오·ABL바이오 등 출격
2023-01-09한샘, 부동산 침체에 수익성 '와르르'…디지털이 돌파구 될까
2023-01-06전환사채 시장의 상향 리픽싱, 소액주주 보호 위한 대책, 메자닌 시장 지각변동 시작되나
2023-01-05현대차 EV9, 코나EV, 레이EV 다양한 전기차 출시 글로벌 시장 탑티어 위상 강화 계획
2023-01-05SK하이닉스 메모리반도체 시장 불확실성 지속, CAPEX 대폭 감축할 계획
2023-01-04한국전력 대규모 적자에 발전소 증설, 친환경 설비 및 송배전망 투자 계획까지…재무부담 확대
2023-01-04롯데하이마트, "애플이나 다이슨 등 글로벌 브랜드 활성화와 이커머스 경쟁력 올리겠다!"



Tags:
아이비토마토
뉴스토마토
IB토마토
토마토tv
제약
바이오
국가약품감독관리국
제테마더톡신
보톡스
한국비엔씨
한국비엠아이
제테마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