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기너스 아크] ARK : SURVIVAL EVOLVED 생물 스포트라이트 - 2편 삼엽충

Subscribers:
14,600
Published on ● Video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pimcUruZJI8



Duration: 7:59
67,337 views
622


안녕하십니까, 비기너스 아크의 비기너입니다. 생물 스포트라이트 두 번째로 소개해드릴 생물은 삼엽충입니다. 채널 초반에는 이런 자잘한 생물들부터 차근차근 알아갈 것이고, 중후반부터 쓸모있는 공룡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별로 볼 것 없는 동물이라도 재미있게 풀어나가는 영상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가볍게 즐겨주시고, 많은 시청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영상내용 시간 -

인트로 00:52
실제 삼엽충 01:12
인게임 삼엽충 02:26
테이밍 04:10
용도 05:57

- 영상 대본 -

인트로
고생대 캄브리아기에 처음 나타나 장장 3억년동안 지구에 살았던 삼엽충은 그 자체로 진화의 증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의 대멸종을 겪으면서도 사라지지 않고 다시 번성했던 그들은 환경의 변화에 맞서 그때그때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분화하며 오랜시간 지구의 역사를 지켜봤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비기너스 아크의 비기너입니다. 아크 서바이벌 이볼브드의 생물 스포트라이트에서 두 번째로 소개해드릴 생물은 바로 삼엽충입니다. 삼엽충 역시 생존자가 처음 깨어나는 해변가에서 만날 수 있는 동물 중 하나이며, 생존자들의 비상식량이자 초반 키틴공급원이 되어주는 매우 고마운 녀석들입니다.

실제 삼엽충
인게임의 삼엽충을 알아보기 전에 잠깐 실제 삼엽충에 대해 간단하게 이야기하자면, 삼엽충은 우리에게 잘 알려진 화석 동물로 해양 절지동물 중 가장 먼저 나타난 편에 속합니다. 지리적으로 널리 퍼져 있었고 종류도 매우 다양해서 현재 알려진 것만 총 17,000여 종이나 되는데, 쉽게 화석화되는 키틴질의 외골격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화석기록을 남겼고, 그 덕분에 연구과정 중 생층서학(Biostratigraphy), 고생물학, 진화생물학 및 판구조론 등에 중요한 공헌을 한 생물입니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전체적인 형태가 타원형에 가깝다는 것, 그리고 등쪽을 덮는 외골격이 긴 방향으로 세 개의 뚜렷한 엽으로 구분된다는 것인데 여기서 삼엽(三葉)충이라는 이름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상대적으로 크고 뚜렷한 머리부분은 축부분을 중심으로 가슴과 연결되는데 삼엽충 분류군들 간의 차이를 말할 때 전체적인 크기와 모양뿐만 아니라 머리부분의 특징이 자주 언급되곤 합니다.
최초로 출현한 때는 캄브리아기 초기로 추정되며, 고생대 동안 번성하다가 천천히 쇠퇴하여 지금으로부터 2억 5000만 년 전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 때 결국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멸종원인은 급격한 환경변화로 추정되는데, 만약 살기 좋은 환경의 아크에서 삼엽충이 멸종한다면, 그 원인은 굶주린 생존자들이 되겠군요.

인게임 삼엽충
인게임에서의 삼엽충은 도도와 같이 대표적인 초반 사냥대상입니다. 가까이 가도 전혀 반응하지 않으며, 뭍으로 올라왔을 때 공격받으면 아주 느린 속도로 도망가죠. 이렇게 쉬운 상대임에도 불구하고 이상하게도 주변 공룡들은 삼엽충을 거들떠보지도 않습니다. 딜로포도, 랩터도, 바리오닉스도, 늑대와 카르노도, 그리고 렉스까지... 덕분에 생존자가 다른 육식공룡들에게 삼엽충 고기를 빼앗길 걱정은 없겠네요.
이들의 서식지는 온난한 지역의 해변가와 심해, 심해동굴 등 거의 모든 바다 밑바닥에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바다에 들어갈 수 없는 초반에는 해변가에서 찾아야만 하는데, 그 수량은 도도만큼 많지는 않습니다. 물론 삼엽충을 사냥하면 소량의 생고기를 얻을 수 있습니다만, 이들만으로는 충분한 식량을 공급하기에 살짝 버거운 정도죠.
또한 삼엽충은 키틴도 제공합니다. 키틴을 많이 주는 벌레류들이 등장하는 동굴을 탐험하기에 아직 버거울 때 큰 도움이 되죠. 그리고 놀랍게도 최후반까지 요긴하게 쓰이는 실리카진주, 오일, 흑진주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우매우, 매~~~~우 적게 나옵니다. 만약 고기보다 키틴이나 진주같은 자원들을 조금이나마 더 얻고 싶다면 곡괭이보다는 도끼로 채집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검치호나 틸라콜레오, 테리지노 같은 녀석들이 있으면 더욱 좋고요.
그런데 이 녀석, 도도처럼 맨주먹으로 잡기엔 생존자의 몸에 골병이 먼저 들 정도로 맺집이 강합니다. 게다가 이동속도가 느리지만, 그 어떤 경사로도 거침없이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고, 근처의 물가가 있다면 우선적으로 그 쪽으로 도망가니, 이 녀석들을 수월하게 잡고 싶다면 적어도 기본적인 무기 정도는 갖춰두길 권장합니다. 혹은 디플로카울루스가 삼엽충에 한해서 즉사에 가까운 데미지를 가하니, 삼엽충을 실컷 사냥하고 싶다면 늪지에서 삼각형 대가리를 가진 이 동물들을 길들이시면 되겠습니다.

테이밍
혹시 삼엽충을 조련해보려고 몽둥이로 두들겨패거나 마비화살을 쏴서 기절시켜보려고 시도해보신 적이 있으십니까? 기절하지 않는 삼엽충을 어떻게든 기절시켜보기 위해 마취다트나 충격다트를 쏴본 적은 없으신가요? 아쉽게도 삼엽충은 기절수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마취도구를 아무리 써도 삼엽충이 기절하는 꼴은 절대로 볼 수 없죠. 그렇다고 가까이 가서 먹이를 먹여주는 평화테이밍이냐? 아닙니다. 삼엽충은 치트키를 쓰는 것 외에는 절대로 테이밍을 할 수 없습니다. 아쉽게도 삼엽충을 테이밍하는 모습은 보여드리지 못하겠군요. 죄송합니다. ...... 였습니다만, 에버레이션이 출시된 이후, 삼엽충을 테이밍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에버레이션 엔그램 중에 작은 수중생물들을 테이밍하거나 운반할 수 있는 통발 아이템이 있는데, 삼엽충 역시 이 도구로 테이밍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삼엽충 근처에 통발을 두고 포획이 활성화될 때까지 몇 초 기다렸다가 포획을 하면 끝이죠. 삼엽충이 들어있는 통발은 아이템 형태로 인벤토리에 들어가는데, 이것을 사용해주면 테이밍된 삼엽충이 뿅~ 하고 나옵니다! 단 일반적인 테이밍과는 다르게 레벨 보너스는 없습니다. 현실에서도 이렇게 동물들을 길들일 수 있으면 얼마나 간편하고 좋을까요? 아마도 마법의 통발이라고 엄청나게 광고를 했을 수도 있겠군요.
어쨌든, 삼엽충은 도감에서 기회주의적 육식동물, 즉 스캐빈저에 가까운 식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하고있으니 먹이는 당연히 고기일텐데 흠...... 아니네요. 테이밍된 삼엽충은 초식동물입니다. 게임제작자들이 도감설명과 실제게임을 다르게 만들어놓았군요. 사소한 것이지만 이런 부분은 조금 아쉽네요. 다행히 삼엽충 역시 먹이통에 들어있는 베리들을 혼자서 잘 꺼내먹으니, 삼엽충 사육에 관심있는 분들은 주변에 보이는 삼엽충들을 마음껏 테이밍하시고 잘 키워주시면 되겠습니다.

용도
그럼 길들인 삼엽충은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요?
한번 전투를 시켜봅시다. (전투장면)
이 녀석, 야생상태에서도 그렇게 착하더니 조련되고 나서도 마찬가지네요. 전투로는 전혀 사용할 수 없으니 다른 용도를 연구해봐야겠죠. 이를테면... (삼엽충 c4)
아아아 아닙니다. 조금 더 창의적인 방법을 생각해내고 싶네요. (시장놀이)
하아... 제 창의력은 여기까지가 한계군요. 솔직히 말하면, 집안에 한 마리쯤 애완용이나 전시용으로 두는 정도밖에 생각나지 않습니다. 혹은 비상식량으로 쓰던가요. 이동속도가 도도보다 느리고, 던질 수도 없고 어그로도 끌지 못하니 저한테는 도저히 쓸 데가 없어 보입니다. 여러분이라면 이 애물단지 삼엽충을 어디다가 쓸지 궁금해지네요. 댓글로 좋은 사용방법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엔딩
지금까지 생물 스포트라이트 삼엽충 편이었습니다. 영상이 유익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버튼 한번 꾹~ 부탁드립니다. 여기까지, 비기너스 아크의 비기너였습니다.







Tags:
삼엽충
Trilobite
ARK : Survival Evolved
아크 : 서바이벌 이볼브드
비기너스 아크
Beginner's ARK
생물 소개
생물 스포트라이트
생물 가이드



Other Statistics

Ark: Survival Evolved Statistics For Beginner's ARK

Beginner's ARK presently has 4,595,298 views for Ark: Survival Evolved across 87 videos, with His channel uploaded over 1 day worth of Ark: Survival Evolved videos. This is 49.20% of the total watchable video on Beginner's ARK's YouTube chan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