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 엔진으로 전환하기 | 언리얼 엔진 게임플레이 프레임워크 이해하기
인듀어링 게임즈가 소개하는 이 비디오를 시청하여 C++와 블루프린트 비주얼 스크립팅 시스템을 함께 활용해 언리얼 엔진 게임플레이 프레임워크의 기반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언리얼 엔진에서 게임플레이를 제작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코어 플러그인과 툴 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게임플레이 어빌리티 시스템 - 개발자가 게임플레이 어빌리티를 유연하고 확장 가능하며 강력한 방식으로 만들 수 있게 해 주는 플러그인입니다.
게임플레이 스테이트 트리 - 계층형 스테이트 머신으로, 게임의 모든 요소에 대한 일종의 '브레인' 컴포넌트입니다. Unity의 스테이트 머신이나 Unity 비주얼 스크립팅 스테이트 그래프와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향상된 입력 - 언리얼 엔진의 핵심적인 입력 처리 기능으로, 고정된 입력에 대한 반응 메커니즘에서 벗어난 일정 수준의 추상화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개발자는 물론 플레이어도 컨트롤 매핑 방식을 쉽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드라이버 - 게임플레이 데이터로 편집할 수 있는 에셋입니다. 언리얼 엔진은 프로젝트별 커스텀 시스템에 데이터를 모을 수 있도록 몇 가지 일반적인 리소스를 제공합니다. Unity의 ScriptableObject와 비슷하지만, 에디터에서 전용 옵션이 지원된다는 점이 다릅니다.
언리얼 엔진의 게임플레이 프레임워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dev.epicgames.com/documentation/ko-kr/unreal-engine/gameplay-framework-in-unreal-engine 에서 확인하세요.
언리얼 엔진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하세요.
https://www.unrealengine.com/ko/uses/switching-to-unreal-engine